인과의 삶
인과의 삶
불교는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중요시하는 종교입니다.
인과因果를 가장 간단히 말한다면 속담에
"콩심은 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고 하듯 어떠한 원인으로 인한 결과를
말합니다. 무슨 인因을 심으면 곧 무슨 과果를 거둬들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인과는 시간적으로는 삼세인과三世因果가 있으며,
일상생활 가운데 경제, 신체, 신앙 등에도 각기 그들의 인과율이 존재합니다.
거둬들이려면 먼저 길러라
사람들은 배고프면 밥을 먹습니다. 배가 고파 밥을 먹으면 허기가 풀립니다.
밥을 먹는 것은 인이고 배가 부른 것이 바로 과입니다.
어떤 사람이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근면하게 일해서 많은 돈을 벌었다면,
열심히 일한 것은 인이고 돈을 벌은 것이 곧 과입니다.
후스 선생이 "거둬들이려면, 먼저 길러라"라고 한 것처럼 인과 관은 결코
숙명론宿命論이 아닙니다. 숙명론은 모든 얻음과 잃음, 성공과 실패를 은연중에
운명의 신이 장악하여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없는 것으로 여깁니다.
인과의 관념은 선이든 악이든 모든 과부를 자기 자신이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행복이나 불행의 선택권이 신에게 있지 않고 자기에게 있으며
일체의 결과는 자기 행위가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과거의 불행은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행복으로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인과관은 노력, 수행을 결정하는 참으로 낙관적이고
진취적인 도리입니다. 《명심보감明心寶鑑》에도 "좋은 일에는 좋은 갚음이
있고 나쁜 일에는 나쁜 갚음이 있다. 갚음이 없다고 근심하지 마라.
다만 아직 때가 되지 않았을 뿐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인과응보가 조금도 틀림이 없음을 굳게 믿어야 하며,
말을 조심하고 행동을 신중히 하며, 몸과 마음을 지키고 보호해야 합니다.
아가인惡因을 만들어 악과惡果를 맛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인과의 생화라은 행위에 대한 책임
인과는 틀림없이 응보되는 것이고, 단지 시간이빠르고 늦는 차이가있을 뿐입니다.
어떤 것은 현세에 바로 보를 받고, 어떤 것은 내세에 가서야 보를 받으며,
어떤 것은 다생다겁多生多劫이 지나고서 받은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의 일상생할 속에서 어떻게 인과의 생활을 조화시켜야 할까요?
짧은 얘기 한 토막을 들려 드리겠습니다.
한 어린이가 친구하고 마찰이 생겨 울분을 풀기 위해
산골짜기에 달려가 골짜기에 대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나는 너를 미워해! 나는 너를 미워해!"
아이가 소리를 지르자마자 골짜기에서 소리가 들렸습니다.
"나는 너를 미워해! 나는 너를 미워해!"
골짜기에서 울림이 오랫동안 끊이지 않고 울려오는 것이었습니다.
그 아이가 낙심하여 집에 돌아와서 어머니에게 울면서 말했습니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다 나를 미워해요."
아이의 어머니가 자세한 원인을 묻고서는
아이의 손을 끌고 그 조용한 골짜기로 데려갔습니다.
그리고는 골짜기에 대고 "나는 너를 좋아해!" 하라고 일렀습니다.
아이가 어머니 말대로 하자마자 골짜기의 구석구석에서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나는 너를 좋아해!" 이 애기는 사랑만이 사랑을 이길 수 있고 미움으로
미움을 대하면 미워함이 더욱 깊어질 뿐이라는 것을 우리에게 말해줍니다.
여기 인과의 게송을 알려드리갰습니다.
사람의 용모가 단정하게 생긴 것은 인욕을 닦는 데서부터 온다.
세상에서 가장 보기 싫은 얼굴은 화내는 얼굴. 평상히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기氣를 부드럽게 지켜나가면 자연히 단정하고 좋은 용모가 나타난다.
가난은 인색하고 탐하기만 하여 남에게 줄 줄 모르고 남들과 인연은 맺지 않아
자신을 도와주는 많은 인연을 잃어버려 자연히 그렇게 되는 것이다.
명예와 지위는 남을 공경하고 존중하는 속에서 얻어지고
신분의 낮음은 오만과 남을 깔봄으로 생긴다.
언어장애는 불법을 훼방한 악과惡果이며,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사제四諸를 믿지 않은 보를 받은 것이다.
수명을 오래 누리는 것은 자비를 알아 행하기 때문이고,
단명함은 살생으로 말미암은 것, 신체가 불구인 것은 파계의 응보인 것이다.
인과의 생활 속에서 누구나 자기가 저지른 것과 모든 행위에 해해서 책임을
회피할 방법이 없습니다. 우리는 인과 관념을 마음속에 단단히 새겨
말 한 마디 한 동작 모두가 불법에 들어맞도록 해야 합니다.
보통중생 보통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