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갓바위 2013. 12. 25. 10:21
 백아절현(伯牙絶絃)  
伯:맏 백. 牙:어금니 아. 絶:끊을 절. 絃:악기 줄 현.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뜻. 
곧 ①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知己]의
 죽음을 이르는 말. ② 친한 벗을 잃은 슬픔..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에게는 그 소리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는 친구 종자기(鐘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내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율이고 있던 종자기의 입에서는 탄성이 연발한다.
"아,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솟는 그 느낌은 마치 태산(泰山)같군."
"응, 훌륭해. 넘칠 듯이 
흘러가는 그 느낌은 마치 황하(黃河)같군."
두 사람은 그토록 마음이 통하는 연주자였고 
청취자였으나 불행히도 종자기는 병으로 죽고 말았다. 
그러자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기(知己)를 가리켜 지음(知音)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유사어] 지음(知音)  [출전]《列子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역지우(莫逆之友)   (0) 2013.12.29
傷弓之鳥(상궁지조)  (0) 2013.12.26
배반낭자(杯盤狼藉)  (0) 2013.12.24
三令五申(삼령오신)  (0) 2013.12.24
별무장물(別無長物)  (0) 201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