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밭 ~ 행복한가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갓바위 2024. 1. 7. 09:36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크든 작든 자기만의 일을 꾸려가는 다양한 나이대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내가 꿈꾸는 미래 속의 50~60대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물음을 품게 됐습니다.

운 좋게도, 조언을 빙자한 훈계를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사실 나도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잘 몰라” 라며 담백하게 말씀해주시는

분들이 더 많았죠. 그 말을 들은 후의 기분은 ’50~60대에도 미래가 막막하다니

절망적인 걸.’ 이라는 불안보다는 ‘이룬 것이 많고, 오래 일하신 분들도 늘 탄탄한

계획을 세우고 계신 건 아니구나.’ 하는 안도 섞인 끄덕임에 가까웠습니다.

 

사실 회사 밖에서 일하면서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특히 ‘계획’에 관한 고민이

컸습니다. 자칭 ’계획 러버‘이지만 되도록 장기계획은 세우지 않는 편입니다.

한 번도 지켜 진 적이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00고시’에 몰두하는 사람들을

보면 경외심이 생깁니다. 저렇게 긴 안목으로 침착하게 인생을 살아가다니…

 

하지만 혼자서 일하며 내가 나를 책임져야 하는 마당에, 전처럼 단기

계획만 가지고 살아도 괜찮은 걸까? 10년 계획, 5년 계획, 3년 계획을 탄탄히

세워둬야 하는 것 아닐까? 그런 불안이 앞서기 시작했습니다.

 

머리를 싸매고 앉아 이런저런 계획을 세워봤지만, 앞날을 예측하는 건

점점 더 어려워졌죠. 그래서 언제부턴가 머릿속에 새겨둔 말이 있습니다.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애정하는 이동진 평론가의 블로그 대문 글인데, 이 문장을 보자마자 반가워서

웃음이 날 정도였다. 딱 내가 찾는 마음이었다고나 할까요. 이후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계획에 대한 고민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때면,

 

꼭 저 문장을 소개합니다. 그러면 의외로 많은 사람이 장기계획보다는

하루하루의 성실을 쌓아가며 자기 일을 만들어왔다는 걸 고백합니다.

 

한국에 처음으로 ‘조향 학원’이란 것을 만드셨던 한 원장님은. ‘몇 년 안에

00을 이루겠다.’는 목표가 아니라 ’00을 하고 싶다.‘, ‘언젠가 00이

되면 좋겠다.’라고 꾸준히 바라며 살아오셨을 뿐이라고 하셨습니다.

 

“뭔가 계획을 거창하게 세워도 잘 이루어지지 않더라.

그런데 열심히 살다 돌아보면 이미 해낸 일들이 거기 있는 거야.”

 

글 쓰는 사람, 조향하는 사람은 많지만 글을 쓰며 동시에

조향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서인지 사람들은 자주 묻습니다.

 

“글쓰기와 조향을 동시에 하는 게 어떤 장점이 있어?”

“그 두 가지를 가지고 앞으로 어떤 걸 이룰 거야?”

 

하지만 항상 그럴싸한 답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원대한 계획을 세우고 시작한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나의 다음 책에는 어떤 이야기를 담고 싶은지,

나의 다음 향수에는 어떤 향을 담고 싶은지는 명확하게 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만들기 위해 어제도 오늘도 노력했고 내일도 노력할 것입니다.

이렇게 매일 매일을 성실하게 이 루는 걸음 속에서, 되는 대로 헤매며 살아가는

것 같은 내 삶도 어디론가 향하고 있겠지요. 언젠가 뒤돌아봤을 때 무엇을 보

게 될지 지금은 절대로 알 수 없고, 그래서 더 살아볼 재미가 있는 것 아닐까요?

 

출처 행복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