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문전작라(門前雀羅)

갓바위 2014. 1. 14. 11:08

 

문전작라(門前雀羅)

 

 

:문 문. :앞 전. :참새 작. :벌일 라.

[원말]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 [반의어] 문전성시(門前成市).

 

 

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문 앞()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말.

 

 

전한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급암()

정당시(鄭當詩)라는 두 현신(賢臣)이 있었다.

 

 그들은 한때 각기 구경(九卿:9

부처의 각 으뜸 벼슬)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었지만

 

 둘 다 개성이 강한 탓에 좌천 면직 재등용을 되풀이하다가

급암은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끝으로 벼슬을 마쳤다.

 

이들이 각기 현직에 있을 때에는 방문객이 늘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면직되자 방문객의 발길이 뚝 끊어졌다.

 

이어 사마천(司馬遷)은《사기(史記)

<급정열전(汲鄭列傳)>에서 이렇게 덧붙여 쓰고 있다.

 

"급암과 정당시 정도의 현인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賓客)이 열 배로 늘어나지만 세력이 없으면

 

당장 모두 떨어져 나간다. 그러나

보통 사람의 경우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적공(翟公)의 경우는 이렇다.

적공이 정위(廷尉)가 되자

 

빈객이 문전성시를 이룰 정도로 붐볐다.

그러나 그가 면직되자 빈객은 금새 발길을 끊었다.

 

집 안팎이 어찌나 한산한지 '문 앞()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門外可設雀羅]'였다.

 

얼마 후 적공은 다시 정위가 되었다.

빈객들이 몰려들자

 

적공은 대문에 이렇게 써 붙였다.

 

一死一生 卽知交情(일사일생 즉지교정)]한 번 죽고

한 번 삶에 곧 사귐의 정을 알고


一貧一富 卽知交態(일빈일부 즉지교태) 한 번

가난하고 한 번 부함에 곧 사귐의 태도를 알며


一貴一賤 卽見交情(일귀일천 즉현교정) 한 번

귀하고 한 번 천함에 곧 사귐의 정은 나타나네


[출전]《史記》〈汲鄭列傳〉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釜中之魚(부중지어)  (0) 2014.01.16
별무장물(別無長物)  (0) 2014.01.15
동호지필(董狐之筆)  (0) 2014.01.13
고복격양(鼓腹擊壤  (0) 2014.01.12
담하용이(談何容易)  (0) 201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