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도 모르는 아이라 관세음보살을 쓰는데, 쓴다기보다 그린다고 할까요?
그 글씨는 자세히 보아야 알아볼 정도였어요.
처음에는 그렇게도 흉내를 낼 수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 아이는 둔재 중의 둔재라 사람이라기보다 때로는 짐승을 보는 듯한 그
런 느낌이 들었어요.
그렇게 둔한 사람이지만 전혀 때묻지를 않았어요.
그래서 그 아이에게 뭘 시키면 기억하는 한 시키는 대로 아주 끈질기게 하는
그런 장점이 있었어요. 시키는 그것밖에 모르는 아이예요.
그러나 성의는 아주 대단해서 하루종일 관세음보살을 쓰고 기도했습니다.
그 사람은 기도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하라는 대로만 할뿐이었어요.
그런 바보지만, 그렇게도 못 쓰는
관세음보살이지만 계속쓰면서,
염하고 쓰면서 염하고 끈질기게 하니까 일념이
되었는 거예요.
드디어 3년만에 머리가 터져버렸어요.
아주 명석한 두뇌가 되어서 기억력도 좋고 창의력도 보통사람보다
훨씬 우수한 머리가 되었어요. 훗날 수계(受戒)를 합니다.
즉, 스님이 되었어요.
스님이 되고는 강원(講院)이라고 스님들이 다니는 학교가 있습니다.
그 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을 했어요.
그러고는 전라도 어떤 절의 주지노릇을 잘 하다가 스님답지 않게 여자복이
있는지, 두
보살하고 인연을 맺어서 두 여자몸에서 아들 딸을 5남매나 낳고
복많은 중님,팔자좋은 중님으로 살다가 지금은 미국인가
어디로 이민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기도는
그 실상사의 행자처럼 지극하게, 성심성의껏 해야 됩니다.
기도할 때는 오직 그것뿐이듯이, 최선을 다하듯이 해야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