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산 원효사 전경
원효사 부어도 부어도 차지 않은 바랑
원효스님이 중국에서온 1천명의 제자와함께 원적산내원암에 자리를잡은 뒤였다
그런데 워낙 많은 대중이라 식량이 부족하여 지금의 상북면 대석리
‘모래불’이라는 동네에 거부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원효스님은
쌀 한 되 가량 들어갈 수 있는 바랑을 가지고 시주를 구하러 갔다.
하인이 쌀 한 되를 가지고 나와 바랑에 부으니 반도 차지 않았다.
이상히 생각한 하인은 또 한 되를 넣고 이를 거듭하여도 여전히 차지 않아,
너무도 이상한 사실을 주인에게 고하게 되었다.
주인은 범상치 않은 도사임을 깨닫고 허리 굽혀 그 소원을 물은 즉,
원효스님은 1천명 제자의 식량이 부족하다는 사유를 말하였고
주인은 쾌히 해결해 줄 것을 승낙하였다.
그로부터 화엄벌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그 산을 1천명의 성인들이 산다하여 천성산
(千聖山)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또 그곳에 절을 짓고 원효암이라 일컬었다고 한다.
지금도 천성산 일대의 칡덩굴은 다른 곳에 비해 매우 짧은데, 그 이유는 스님이
제자와 더불어 수도할 그 당시 한 제자가 마을에 동냥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그만 칡덩굴에 걸려 넘어지자 쌀과 밥이 모두 쏟아진 일이 있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스님은 이튿날 그 제자에게 흰 종이 한 장을 주면서
그 자리에 버리고 오도록 하였는데, 그 이후부터 칡덩굴이 길게 뻗어나지 못하였
다고 한다. 또한 화엄벌에는 지금도 큰 책 한 권 정도 크기의 풀이 나지 않는
곳이 여러 군데 있는데, 이는 원효대사가 화엄경을 강독한 장소라고 전한다.
'卍 ~ 어둠속 등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유사 장유화상의 설화 (0) | 2024.03.03 |
---|---|
율곡사의 전설 (0) | 2024.03.01 |
운흥사 돌아온 괘불 (0) | 2024.02.18 |
운흥사 용이 된 선묘 아가씨 (0) | 2024.02.17 |
증심사 창건설화 (1)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