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하루 ~행복

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

갓바위 2024. 7. 10. 10:34

 

 

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

 

문순득(1777년~1847년)은 조선의 어물 장수였으며

지금의 전라남도 신안군 일대에서 활동하였습니다.

평범한 삶을 살던 그가 조선왕조실록에 이름 석 자를 남긴

이유는 그가 표류하면서 벌어진 파란만장한 여정 때문이었습니다.

 

1801년 12월, 24살의 청년이었던 문순득은 흑산도 인근에서

홍어를 사고 배를 타고 돌아오는 길에 거친 풍랑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문순득이 탄 배는 망망대해를 2주일이나

속절없이 표류하고 낯선 섬에 도착했습니다.

 

류큐 왕국의 ‘대도(大島)’라는 곳이었는데 지금의 일본 오키나와였습니다.

다행히 현지인들은 표류자들을 잘 보살펴 주었고 그곳에서 문순득은

8개월을 머물면서 그 나라 말과 풍습을 배우면서 빠르게 적응했습니다.

 

그리고 조선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알아냈는데

그것은 중국으로 가는 류큐 왕국의 조공선에 탑승해서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넘어가는 것이었습니다.

 

1802년 10월, 문순득은 중국을 향하는 배를 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또 풍랑을 만나 하염없이 동남쪽으로

흘러갔고, 열흘 후 배가 도착한 곳은 중국이 아닌

스페인 제국 필리핀 도독령이던 루손 섬에 표착한 것이었습니다.

 

긍정적이며 호기심 많고 영리한 사람이었던 문순득은 9개월간

그곳에서 머물며 현지어를 익히고 서양 문물을 열심히 배웠습니다.

그 후 문순득은 마카오, 광저우, 난징, 연경을 거쳐

조선 관리를 따라 조선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그가 고향에 돌아온 건 1805년 1월.

홍어를 사서 배에 오른 지 3년 2개월이 지난 후였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정약전이 쓴 ‘표해시말(漂海始末)’에 기록되었으며

 

책 속에는 문순득의 체험과 정약전의 실학 정신이 잘 드러나 있고,

200년 전의 일본, 필리핀, 마카오, 중국의

풍속, 의복, 집, 배, 언어 등이 생생하게 담겨 있었습니다.

 

문순득은 조선 시대 신분 구조인

‘사농공상(士農工商)’ 중 가장 낮은 상인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글을 잘 쓰지 못해, 정약전을 만나지 못했다면

자신의 경험을 후대에 남기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비록 신분도 낮고 배움도 적었지만

불굴의 용기와 강인한 정신력을 가졌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역경을 헤쳐 나갔습니다.

 

# 오늘의 명언

당신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은 결심하는 그 순간이다.

– 앤서니 라빈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