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생의 업을 불과 3년으로 단축한 대각국사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스님은 1055년(문종 9) 9월 28일,
고려 제11대 문종(文宗) 임금과
울음을 그치지 않았습니다.젖을 먹여도 울고 얼러도 울고,
도무지 울음을 그칠 줄 몰랐습니다.
마침내 모진 병을 앓는 것이 아닌가 하여 시의(侍醫)에게
진찰토록 하였습니다. "대왕마마, 아무리 살펴보아도 왕자께서 우는 까닭을
알 길이 없습니다. 하오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왕자님의 건강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소리를 듣기만 하면 왕자가 울음을 뚝 그치는 것이었습니다.
저 목어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 보도록 해라."
서쪽을 향해 길을 떠났고, 서해 바닷가에 이르자
배를 타고 계속 서쪽으로 나아가 중국
항주(杭州)의 경호(鏡湖)에 이르렀습니다.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관리는 목어를 치며 염불하는
스님께 찾아온 까닭을 말하고, 고려로 함께 가서
왕자의 병을 고쳐 주기를 청하였습니다.
두 손을 모으고 정중히 절을 하자,
왕자는 울음을 뚝 그치고 방긋방긋 웃기까지
그런데 아직 한 가지 걱정이 있습니다."
잡고 몇 번 쓰다듬자 왕자는 손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라는 세 글자가 또렷이 새겨져 있는 것이었습니다.
왕자 앞에 꿇어앉아 흐느껴 울면서 소리쳤습니다.
몰랐습니다." 그리고 의아해하는 문종 임금을 돌아보며
말했습니다. "참으로 기이한 인연입니다.
저의 스승님께서 환생(還生)하시어 왕자님이 되셨으니..."
그런데 워낙 검소하여 번 돈의 일부를 쓰고 나머지는
반드시 우물에 던져 넣어 저축을 했습니다.
몇 십 년이 지나자 우물은 돈으로 가득 차게
호숫가에 절을 짓고 스님이 되었습니다.
한 몸에 받았으며, 저도 그분을 흠모하여
제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정말 알 수 없는 일이
잇달아 일어났습니다. 스님은 절을 짓고 목어를
두드리며 염불정진만 하였는데,
2년이 지나자 장님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3년이 되던 날, 벼락에 맞고
허무하게 돌아가시게 하다니!
부처님의 영험은 없는 것이 아닌가?'
지울 길이 없어, 날마다 그분이 생전에 쓰시던
목어를 두드리며 명복을 빌고 있었습니다.
그 스님이 갖가지 어려움을 한꺼번에 받을 수 있었던
것이야말로 부처님의 영험이 아니겠소?
삼생(三生)에 걸쳐 받아야 할 전생의 죄값을 3년 만에
불도를 닦았고, 마침내 천태종(天台宗)을 세워
고려에 새로운 불교를 꽃피웠습니다.
또 한 생은 장님으로, 그리고 세번째 생에서는
벼락을 맞아 죽게 되었다면 어떻게 불도를
꾸준한 기도생활이 삼생의 업을 불과 3년으로
단축시켜 자유의 몸으로 만들어 준 것입니다.
할지도 모릅니다. 물론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요행수를 바라고 기도를 하면 좋은 결과가
결코 쉽게 돌아오지 않습니다.
훨씬 수승하게다가옵니다.
문도 열리게 되는 것입니다.
기도는 우리를 새롭게 태어나게 합니다. 기도!
그것은 우리의 진실한 마음을 성숙시키는
최고의 방편인 것입니다.
진정으로 바라는 바가 있으면 기도하십시오.
지금 당장 시작해 보십시오.
생명력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출처 - 일타스님 글입니다.)
|
'卍 스님 좋은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음 보살님의 가피로 고친 허리병 (0) | 2014.01.03 |
---|---|
부자가 된 동래 온천장의 막내보살 (0) | 2014.01.03 |
윤회와 인과응보를 깨닫다 (0) | 2014.01.02 |
죽음의 길에서 다시 인간으로 (0) | 2013.12.31 |
노는 입에 염불하기 (0) | 201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