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여세추이ㅣ與世推移

갓바위 2019. 9. 19. 07:44

 

○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 변함

○ 與(더불 여) 世(인간 세) 推(밀 추) 移(옮길 이)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楚(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우국시인 屈原(굴원)은

懷王 (회왕)에게 강국 秦(진)과 대항하기 위해선 齊(제)와 동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張儀(장의)의 술책에 솔깃해진 ]정적들의 모함을 받아

좌천되고 실의에 빠져 湘江 (상강)의 물가를 어슬렁거리다 한 어부를 만났다.

 

어찌하여 귀인이 이곳을 거니느냐고 물으니

온 세상이 흐리고 모두 취했는데 혼자 깨어 있었기 때문이라 했다.

 

‘ 성인은 사물에 엉키고 막히지 아니하고 세상과 더불어 변하여 옮겨가는 것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성인부응체어물 이능여세추이)’ 이란

 

어부의 말에 굴원은 펄쩍 뛴다. 어찌 깨끗한 몸으로 더러운 사물을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며 차라리 물에 뛰어들어 물고기의 뱃속에 장사지내는 것이 낫다고 했다.

 

‘漁父詞(어부사)’에 나오는 이야기로 혼탁한 세파에 맡기는 것은

성인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반면 사소한 일에 얽매이지 않고 흐름을 잘 타야 성현이라 한 사람도 있다.

後漢(후한)때 崔寔 (최식)이라는 선비는 벼슬자리를 사양하고 글 한 편을 공표한다.

 

‘ 대저 성인은 어떤 일에도 구애받지 않고 세상의 변천에 따라 행동한다.

평범한 선비는 융통의 재능이 부족하여 마음으로만 괴로워할 뿐 시대의 변천에 적응하지 못한다

 

(故聖人能與世推移 而俗士苦不知變/

고성인능여세추이 이속사고부지변).’‘後漢書(후한서)’ 열전에 실렸다.

 

- 오늘의 고사성어 -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호지세ㅣ騎虎之勢  (0) 2019.09.20
독서망양ㅣ讀書亡羊  (0) 2019.09.19
취생몽사ㅣ醉生夢死  (0) 2019.09.19
상저옥배ㅣ象著玉杯  (0) 2019.09.18
하갈동구ㅣ夏葛冬裘  (0) 20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