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삽시다
관중의 뿌리 줄기의 효능
양치식물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분류 면마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사할린·
쿠릴열도·중국 동북부 등지
서식장소 산지의 나무 그늘
크기 잎자루 길이 10∼25cm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뿌리줄기는 지름 8∼10mm의 굵은
덩어리 모양이고 비스듬히 서며
길이가 25cm 정도이고 잎이
돌려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0∼25cm이고 잎몸보다 훨씬
짧으며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다.
비늘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10∼25mm이며 광택이 있고
황색을 띤 갈색 또는 검은빛이
도는 갈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긴 돌기가 있다.
잎몸은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잎조각은 20∼30쌍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자루가
없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곱슬털 같은 비늘조각이 있다.
잎몸 중간 부분에 있는 잎조각이
가장 크고, 밑 부분으로 갈수록
잎조각의 크기가
작고 달리는 간격이 넓다.
잎조각의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중앙맥에서 나온 잎맥은 보통
Y자 모양으로 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잎몸 윗부분 잎조각의
중앙맥 가까이 2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기생충의 제거하고
해열·해독 작용이 있으며
지혈 효과도 있다.
양방에서는 성분을 추출하여
면마정(綿馬精) 등의 약품을 만든다.
한국·일본·사할린·쿠릴열도·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면마과의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의 뿌리 줄기와
잎의 잔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으나
면마관중(绵马贯众)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관중은 잎과 줄기는
봉황의 꼬리처럼 생겼으며,
그 뿌리는 하나로 되어 있는데
많은 잔뿌리가 있어 봉미
(鳳尾)라는 이름이 있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조금 있다.
[苦凉小毒]
관중은 살충작용이 있고 해독,
해열, 지혈작용이 있다.
각종 코피, 대소변 출혈, 붕루,
월경과다 등에 쓰며 기생충
제거에 유효하다.
홍역, 유행성뇌염, 유행성볼거리염,
바이러스성폐렴 등에도 활용된다.
약리작용으로 구충작용,
감기바이러스억제작용, 항균,
항암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
자궁수축작용, 외용으로는
지혈, 진통, 소염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활모양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한쪽 끝이 가늘게
원추형으로 그 주위에
잎의 기부가 밀생하여
뿌리줄기를 싸고 있다.
잎의 기부는 다각주상으로
모가 나 있으며 활 모양으로
구부러지고, 한쪽 끝은 가늘다.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갈색의 비늘잎이 드물게 붙어 있다.
이 약은 모양이 고르며 꺾인
면은 녹색이고 겉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다른 이름으로 면마(綿馬),
봉미초(鳳尾草),
금마관중(錦馬貫衆),
관중(貫中), 관중(管仲),
관절(貫節), 관거(貫渠),
백두(百頭), 호권(虎卷),
편부(扁苻), 초치두(草鴟頭),
흑구척(黑狗脊) 등이 있다.
각종 출혈 증상, 코피, 피 토하는 것,
대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
열증으로 인한 붕루,
월경과다를 다스린다.
열독으로 인한
중독을 해독한다.
살충 작용이 있어서 장내(場內)
의 기생충 제거에 유효하다.
해열·해독 작용이 있어서 홍역,
유행성뇌염등에 예방 및
치료 반응을 보이고,
또한 유행성볼거리염,
바이러스성폐렴
등에도 활용된다.
볶아서 태워 사용하면 수렴성이
있어서 코피, 토혈, 장출혈,
자궁 출혈 등에서
지혈 효과를 볼 수 있다.
외용으로는 지혈, 진통,
소염작용이 보고되었다.
관중은 생약 명으로 관중(貫衆)
이라 하며 다른 이 명으로는
호권(虎卷), 흑구척이라고 한다
전국에 분포하며 산속 그늘지고
습 한곳에 자생을 한다.
약효는 뿌리줄기에 분포를 하며
가을에서 이듬해 봄까지
채취하여 엽병,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 깨끗이
씻어 날것 또는 햇볕에
건조하여 쓴다.
성미는 차며 쓰다. 독성은
없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관중 및 동속 근연 식물인
참새발고사리, 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새깃아재비,
고비의 근경(根莖)을 관중
(貫衆)이라 하며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기생충의 제거하고
해열·해독 작용이 있으며
지혈 효과도 있다.
양방에서는 성분을 추출하여
면마정(綿馬精) 등의
약품을 만든다.
유행성감기, 유행성B형 뇌염,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전염병을 예방한다.
그밖에 월경과다,
풍한습비(風寒濕痺),
요슬산통 (腰膝酸痛),
유뇨(遺尿)를 치료한다.
잎자루는 황갈색 또는 흑갈색의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어
거칠고 단단하며 뿌리줄기는
굵고 비대하며 단단하다.
관상용, 약용, 식용으로 이용
된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환제로 사용한다.
주로 순환계, 피부과
질환 등을 다스린다.
약성 :성(性)은 량유소독(凉有小毒)
하고 미(味)는 고(苦)하다.
약효 :회충 조충(敎蛔蟲 條蟲),
요충(蟯蟲)의 구제,
청열해독(淸熱解毒),
량혈지혈(凉血止血)의
효능이 있어 토혈(吐血), 육혈,
장풍편혈(腸風便血), 혈리(血痢),
혈붕(血崩),
대하(帶下) 등을 치료한다.
채집시기/산지 :제주도(한라산),
전라남도(지리산), 전라북도(덕유산),
경상남도(천성산,
천황산, 가지산, 재약산),
충청북도(속리산),
경상북도(팔공산, 울릉도),
강원도(청옥산, 점봉산, 오대산),
경기도(광릉)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국 고산지대의 음습
처에 자생하며 봄, 가을에 채취한다.
가공법 :뿌리째 캐어서 잎자루와
수염뿌리를 제거한 다음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채취하여 잎과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효중 수렴성을 높여야 할
경우에는 볶아서 사용한다.
주의 :陰虛內熱(음허내열),
脾胃虛寒證(비위허한증), 또는
임산부는 모두 부적당하다.
진액이 부족하면서 열이
있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임산부에게는 유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감기 :뿌리줄기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금창(金瘡) :뿌리를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10회 이상
환부를 씻어 낸다.
대하증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서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두풍(頭風) :뿌리줄기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부인붕루(婦人崩漏) :뿌리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월경과다증 :측백엽(側柏葉),
선학초(仙鶴草), 진종탄(陣棕炭)
등을 배합(配合)하여 복용한다.
자궁수축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자궁출혈 :뿌리줄기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장염 :뿌리줄기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장출혈 :뿌리줄기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출혈 :뿌리줄기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토혈(吐血)과 각혈 :뿌리줄기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해열(解熱) :뿌리줄기 4~5g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회충 :뿌리줄기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