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 ~불교 상식

금강저(金剛杵)

갓바위 2022. 10. 29. 10:19

 

금강저(金剛杵)

금강저(金剛杵)는 밀교의 의식에 쓰이는

작법용 불구로 번뇌를 없애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제존 존상이 가진 법구로 스님들의 수행도구로도 사용된다.

금강저는 원래는 고대 인도의 무기였다. 

원래는 고대 인도의 무기였다. 

 

밀교에서 불구로 채용한 것은 제석천이 금강저를

무기로 삼아 아수라를 쳐부순다는 신화에서 비롯됐다.

 

우리나라의 밀교계 종파에서 진언을 외우며

수행할 때 항상 금강저를 휴대하게 되어있다. 

 

금강저의 근본 뜻은 여래의 금강과 간은 지혜로써 능히

마음속에 깃든 어리석은 망상의 악마를 파멸시킨다는 것이다. 

 

밀교의 만다라에는 금강부의 여러 존상들이

모두 금강저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열반경에는 금강역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금강저로

모든 악마를 티끌 같이 쳐부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신중탱화에서는

동진보살이 반드시 금강저를 들고 있다.

 

금강저는 금, 은, 동, 철 등으로 만들어지며

불교의 금속공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금강저의 형태는 손잡이 양쪽이 뾰족한 끝은 가졌다. 

 

모양에 따라 뾰족한 끝이 하나인 것은 독고,

2.3.4.5.9갈래로 갈라진 것은 2고저. 3고저. 9고저라 한다. 

 

최초에는 그 형태가 무기형으로 뾰족하고 예리했으나

불구(佛具)로 사용되면서 끝의 가락이 모아지는 형태로 바뀌었다. 

독고가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 

 

손잡이 좌우에 불꽃 모양을 조각한 것은 탑저라고 한다. 

이들은 밀교의 단에 봉안되는데 탑저는 중앙에 나머지는 사방에 배치한다. 

 

현존하는 금강저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길이 22cm의

고려시대 청동5고 금강저가 소장돼 있으며 일반 사찰에서는

 

조선시대의 금강저를 볼 수 있고, 고려시대의 사경, 변상도에는

가장자리를 금강저 문으로 장엄한 예가 자주 나타나며,

현존 신중탱화에서는 대부분 금강저를 볼 수 있다.

'卍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화(佛畵)  (1) 2022.11.04
불상(佛象)  (0) 2022.11.04
재(齋 : Uposadha)  (1) 2022.10.29
불교식장례  (0) 2022.10.28
스님과의 만남  (0)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