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봉두구면ㅣ蓬頭垢面

갓바위 2023. 9. 5. 08:11

 

봉두구면ㅣ蓬頭垢面

 

○ 쑥처럼 흐트러진 머리와 때묻은 얼굴

○ 蓬(쑥 봉) 頭(머리 두) 垢(때 구) 面(낯 면)

 

쑥처럼 흐트러진 머리와 때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외양(外樣)이 그다지 마음을 쓰지 않고 무관심(無關心)함을 이름

 

중국 華北(화북) 지역에 세운 北朝(북조) 최초의 北魏(북위, 386∼534)에

封軌(봉궤)라는 유학자겸 관료가 있었다. 그는 학문을 좋아해

五經(오경)과 春秋三傳(춘추삼전)에 능했다.

 

사람이 정직하고 원세에 아부할 줄 몰랐을 뿐 아니라 훤칠한 키에 인물도 수려했다.

거기에 평소에도 신경을 써서 몸단장을 하는 편이었다. 한 선비가 와서

학문을 하는 사람이 무엇 때문에 이렇게 용모에 대해 신경을 쓰는지 물었다.

 

봉궤가 웃으며 말했다. 군자란 의관을 단정히 해야 하는 법인데

‘어째서 흐트러진 머리에 때가 낀 얼굴을 해야만 어질다고 하는가

(何必蓬頭垢面 然後爲賢/ 하필봉두구면 연후위현)?’하고

답하니 대꾸도 못했다. ‘魏書(위서)’에 전하는 이야기다.

 

혼란의 南北朝(남북조) 시대 나라를 옮겨 다니며 파란의 생활을 영위했던

顔之推(안지추, 531∼591)라는 문필가는 자손을 위한 교훈서

‘顔氏家訓(안씨가훈)’을 남겼다. 가족과 대인관계를 비롯하여 풍속, 학문 등

다양한 내용을 풍부한 사례를 바탕으로 기술한 중요자료가 되는 책이다.

 

風操(풍조) 편에도 이 성어가 사용됐다. 관직에 있는 부친이 잘못하여

탄핵을 받으면 아들은 ‘짚신에 거친 옷을 입고 쑥대머리에 더러운 얼굴로

거리를 헤매며(草屩粗衣 蓬頭垢面 周章道路/ 초교조의 봉두구면 주장도로)’

억울함을 호소한다고 했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상군자ㅣ梁上君子  (0) 2023.09.09
경이원지ㅣ敬而遠之  (2) 2023.09.06
백안시ㅣ白眼視  (0) 2023.09.04
교칠지심ㅣ膠漆之心  (0) 2023.09.01
홍주우심ㅣ紅珠牛心  (0)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