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해 수행하는 것 아니다 누구를 위해 수행하는 것 아니다 부처님께서 코삼비국의 코시타동산에 계실 때였다. 그 때 구심이란 비구는 항상 싸우기를 좋아해서 악행을 범하고 남을 앞에 두고 욕질을 하며 칼이나 몽둥이를 잘 휘둘렀다. 부처님께서는 어느 날 아침 구심 비구 에게 말씀하셨다. "너희 비구들은 싸우.. 卍 ~불교 상식 2014.01.10
사랑으로 꾸짖어라 사랑으로 꾸짖어라 부처님께서 왕사성 기사굴산에 계실 때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법을 발전시키는데 여섯 가지의 길이 있다 . 첫째, 몸은 항상 자비를 행하여 산 목숨을 해치지 말라. 둘째, 말을 하되 부드럽게 하고 악담하지 말라. 셋째, 마음을 너그럽게 하여 남을 손해케 하지 말라. .. 卍 ~불교 상식 2014.01.07
법에는 남녀 차별 없다 법에는 남녀 차별 없다 부처님께서 사위성 기원정사에 계실 때 어느날 소마비구니가 성안에서 걸식을 마치고 조용한 숲으로 향했다. 그때 마왕 파순이 말했다. "성인의 경지는 높고 아득해 오르기 어렵거늘 그대의 어리석은 지혜로 어찌 얻으랴!" 소마비구는 마왕의 장난임을 알고 게송.. 卍 ~불교 상식 2014.01.06
내가 받게 될 과보는 어떤 것일까… 내가 받게 될 과보는 어떤 것일까…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네 가지 과보에 대해 말씀하셨다. “세상에는 네 가지 형태로 과보를 받는 법이 있다. 현재는 즐겁지만 미래는 괴로운 법, 현재는 괴롭지만 미래는 즐거운 법, 현재도 .. 卍 ~불교 상식 2014.01.05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하나이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하나이다 부처님께서 왕사성 죽림원에 있는 다람쥐 사육장에 계실 때였다. 사비야라는 수행자가 있었는데 그는 많은 스승을 찾아 다녔지만 진리에대한 만족한 대답을 들을 수가 없었다. 사비야는 부처님에게 찾아와 가르침을 듣고는 기쁨에 넘쳐 부처님을 찬탄하.. 卍 ~불교 상식 2014.01.05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1) 소승불교는 윤리적이고 역사적인데 반해, 대승불교는 종교적이며 철학적 입니다. (2) 소승불교의 경전은 팔리어인 반면에, 대승불교의 경전은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으며 각 전파지역에서 각각의 언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3) 소승불교의 해탈 혹은 열반이란 .. 卍 ~불교 상식 2014.01.05
천수경의 공덕 1. 천수경의 공덕 상기 강좌는 지광스님의 천수경 강의임을 밝힙니다 묘봉스님등 좋은 강의가 많은데 우리 불교사랑은 능인선원 지광스님의천수경을 교재로 채택하였습니다 팔아포요 일일이 타자하기 ㅋㅋ 많은 관심 가져 주세요 ^(^* 한국불교는 관음신앙이 근본 천수경은 `천수천안 관.. 卍 ~불교 상식 2014.01.05
최상의 행복 최상의 행복 부처님께서 기원정사에 계실때 최상의 행복에 대해 이렇게말씀하신 적이 있었다. "어리석은 자와 사귀지 말고 현명한 이와 사귀며 존경할만한 이를 존경하는 것, 이것이 최상의 행복이니라. 과거에 쌓은 공덕과 걸맞은 곳에서 살며 스스로를 바르게 보호하는 것, 이것이 최.. 卍 ~불교 상식 2014.01.05
보리심은 마음의 등불 보리심은 마음의 등불 /법산 스님 보리(菩提)는 범어 ‘Boddhi’의 음역으로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보리심(菩提心)이란 깨달은 마음(心)을 일컫는다. 마음이 어리석으면 어둡다[迷]고 하고 마음이 지혜로우면 밝다[悟]고 한다. 천년 묵은 동굴의 어둠도 등불이 켜지면 어둠은 사라지.. 卍 ~불교 상식 2014.01.03
슬프거든 부처님께 호소하라 슬프거든 부처님께 호소하라 / 광덕스님 슬픔을 남에게 호소하지 말라. 노여움을 남에게 말하지 말라. 호소하게 되면 미움과 슬픔의 물결은 더욱 높아지리라. 서로의 사이는 험악해지고 노여움의 불길은 다시 타오른다. 또한 슬픈 심정을 자극이나 쾌락으로 호소하려 하지 마라. 쾌락이.. 卍 ~불교 상식 201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