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하면 왜 코피가 날까?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이나 무리하게 일을
하다보면 코피가 나는 경우를 종종본다.
아무런 외부충격도 없이나는 코피, 과연 왜 그럴까?
코피 는 손상이나 감염, 고혈압, 코 안의 이물질,
알레르기, 종양, 혈액질환, 심장질환
그리고 다른 요인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코피는 콧속 점막의 작은
혈관 손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은 감염이나 유전, 암 등의 증상과는상관이 없답니다.
코피가 잘 발생하는 부위는 두 군데가 있습니다.
첫째로 콧속의 앞쪽 아래 부분의 점막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
인데 흔히 여러분 같은 어린이들에게서 많이 발생하지요
.
콧속의 앞쪽 아래 부분의 점막 부위는 혈관이 풍부한데다
점막이 얇아서 상처를 입기 쉬운 부분입니다. 그러니 코피도
쉽게 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바깥 공기가 건조한 곳에서
오래 있게 되면 코 안이 마르게 되는데 이때 코를 후비거나
코를 세게 풀게 되면, 점막의 혈관을 건드려
코피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는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엄지와 검지로 코 옆을
잡고 10분 정도 있으면 대체로 피가 멈추게 된답니다.
두 번째로 코 뒤에서 코피가 나는 경우 인데 주로
나이 드신 분들에게 많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는 일단 가까운 종합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피곤할 때는 왜 코피가 날까요?
보통 사람들은 피곤하면 코피가 난다고 하지요.
피곤하다는 것은 그만큼 일을 열심히 했다거나
몸에 무리를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몸의 윗부분으로 열이 몰리면서
콧속의 점막에 있는 모세혈관이 그 기운을 이기지 못하고
터지는 증상 이 간혹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 코피가 나게 되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공부를 열심히 하면 흔히들 코피가 난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