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 ~불교 상식

백중(百中)

갓바위 2022. 7. 24. 08:52

백중(百中)은 음력 7월 15일로 백종(百種)·중원(中元),

또는 망혼일(亡魂日),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고도 한다. 

 

‘백종’은 이 무렵에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가지 곡식의

씨앗(種子)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된 명칭이다. 

 

일본에서도 오봉이라는 명절로 남아있다

‘중원’은 도가(道家)의 말로 도교에서는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일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 한다.

 

1월 15일을 상원(上元), 10월 15일을 하원(下元)이라고 하며 7월 15일의

중원과 함께 삼원(三元)이라 하여 초제(醮祭)를 지내는 세시풍속이 있었다. 

 

백중을 ‘망혼일’이라 하는 까닭은 이날 망친(亡親)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술 · 음식 · 과일을 차려놓고 천신(薦新)을 하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우란분절’은 불교에서 우란분재(盂蘭盆齋)를 지내는 날을 중국에서 명절화한 것이다.

백중이 되면 여러 행사가 있어왔다. 

 

우선 각 가정에서 익은 과일을 따서 조상의 사당에 천신을 한 다음에 먹는

천신 차례를 지냈으며, 옛날에는 종묘(宗廟)에 이른 벼를 베어 천신을 하는 일도 있었다. 

 

농가에서는 백중날이 되면 머슴을 하루 쉬게 하고 돈을 준다. 

머슴들은 그 돈으로 장에 가서 술도 마시고 음식을 사먹고 물건도 산다. 

 

그래서 ‘백중장’이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는데 백중장은 장꾼들이 많고 구매가 많은 장이다. 

취흥에 젖은 농군들은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기도 하고 때로는씨름판이 벌어지며

장터에는 흥행단이 들어와서 활기를 띠기도 한다. 

 

이러한 백중 명절은 중부 이남지방이 성대하다. 또한 이날은

그해에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머슴을 뽑아 소에 태워 마을을 돌며 위로하며 논다. 

 

이것은 바쁜 농사를 끝내고 하는 농군의 잔치로서

이것을 ‘호미씻이’, ‘세서연(洗鋤宴)’, ‘장원례’ 등이라 한다.

 

경북 지역에서는 이를 가리켜 ‘풋굿’ 혹은 ‘풋구’라 하고, 호남지역에서는 ‘질꼬내기’라 한다. 

마을의 지주집에서 음식과 술을 대접하며 한해 농사의 수고를 위무하는 것이다.

 

제주도에서는 일손을 쉬지 않고 바다에 나가 일을 더 많이 한다. 

백중날에 살찐 해산물들이 많이 잡힌다고 하며 밤에는 횃불을 들고 늦도록 해산물을 따기도 한다.

 

한라산에는 ‘백중와살’이라는 산신이 있어 백중을 고비로 익은 오곡과 산과(山果)를

사람들이 따 가면 허전하여 샘을 내고 바람을 일으킨다고 해서 산신제를 지내는 일도 있다.

신라 때에는 백중을 기해서 삼삼기가 시작되었다. 

 

도성 안의 부녀자를 두 파로 나누고 공주로 하여금 각 파를 이끌어 한 달 동안

삼을 삼아 8월 가윗날에 그 성적을 심사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 한턱 내도록 하는 것이다. 

 

백중 무렵이 되면 삼이 자라서 그 껍질을 벗기기에 알맞게 익은 때이므로 직조작업을

권장하는 뜻에서 왕녀를 주축으로 하여 집단작업인 두레삼 삼기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卍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법 공양 유래 및 의미  (0) 2022.07.30
불가(佛家)에서의 백중  (0) 2022.07.24
법회 식순에 대하여  (0) 2022.07.24
법회와 예불에 동참할 때  (0) 2022.07.22
재가불자 사이의 예절  (0) 2022.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