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상성도(八相成道) - 3.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12세 되던 해 어느 봄날,
태자는 부왕과 함께 농경제의 파종 식에 찬가하였다.
그때 태자는 농부들의 마르고 고단한 모습과
쟁기를 끄는 소들이 채찍에 맞아 피를 흘리는 것을 보았다.
또한 쟁기가 지나간 뒤 뒤집혀진 흙 사이로 기어 나온
벌레들을 잡아먹기 위해 날아든 새들을 보며 큰 충격을 받았다.
이에 싯다르타 태자는 염부나무 밑에서 그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깊은 명상에 잠겼다.
이를 지켜 본 정반왕은 태자를 세상과 더욱 멀어지게 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태자의 세상에 대한 고뇌는 더욱 깊어갔다.
그러던 어느 날 성문 밖을 나섰다가 동문, 서문,
남문에서 각각 늙고, 병들고, 죽은 사람들을 보게 되었다.
그 후 태자는 생명을 가진 어떤 것도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번민하다가 북문에서 만난 사람은 출가 수행자였다.
이 출가 수행자를 본 싯다르타 태자는 출가
수행만이 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卍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0) | 2022.12.19 |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0) | 2022.12.17 |
바람강생상(毘藍降生相) (0) | 2022.12.15 |
도솔래의상 (都率來衣相) (0) | 2022.12.14 |
연기설( 緣起說 : Pratityasamut pada)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