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 ~불교 상식

좌선은 안락의 법문​

갓바위 2023. 1. 12. 10:32

좌선은 안락의 법문

곰곰이 생각하면 좌선은 안락의 법문이지만,

사람들이 흔히 병을 얻는 것은 모두 마음을 잘못 쓰기 때문이다.

이 뜻을 잘 터득하면, 자연히 온몸이 편안하고 정신이 상쾌해질 것이다.

 

바른 생각이 분명하고 법의 맛이 정신을 도와 고요하고 맑은 기쁨을 누릴 것이다.

한 번 밝게 된 사람이라면 용이 물을 얻은 것 같고,

호랑이가 산을 의지한 것과 같을 것이다.

 

아직 밝게 되지 못한 사람은 바람에 의해서만

불을 일으키려는 것과 같아서 그 힘이 달릴 것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판단하고 절대로 서로 속이지 말라.

 

도가 높아지면 마(魔)가 성하는 법이어서 역경과 순탄함이 만 가지나 된다.

그러나 바른 생각이 나타나면 그 어떤 것에도 거리끼지 않을 것이다.

능엄경(楞嚴經)과 천태지관(天台止觀)과 규봉(圭峰)의 수증의(修證儀)에 악마의 일을

두루 밝혀, 헤아리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예비 해 두었으니 반드시 알아 두라.

 

―《좌선의》―

 

좌선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마음가짐이다.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좌선에 임해야 하는가?

첫째로 염두에 둘 것은 바로 좌선은 안락(安樂)의 법문이라고 하는 것이다.

 

안락이란 말 그대로 편안하고 즐겁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좌선에 임하는 마음가짐은 편안하고 즐거워야 한다.

편안하고 즐겁기 위해서는 우선 만족해야 한다.

 

만족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추구하는 바가 없어야 한다.

일체의 바램을 놓고 쉬어야 한다. 심

지어는 깨닫고자 하는 마음조차도 하나의 헐떡임에 불과함을 알아야 한다.

 

일체의 사량분별(思量分別)과 ‘나’라고 하는 생각,

내지는 깨치고자 하는 마음까지도 모두 놓아버리고 다만 앉아 있을 뿐이다.

그대로만 하면 5분 앉으면 5분 부처이다.

 

좌선이란 몸을 주저 앉혀 고요히 할 뿐 아니라,

마음을 주저 앉혀 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5분 앉으면 5분 부처라는 신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앉아있는 부처는 더 이상 부처가 되고자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자성, 즉 우리 모두의 본 마음·참 나는 본래 완전하기 때문에 더 이상

그릇됨만 없으면 자성의 계(戒)요, 더 이상 산란함만 없으면 자성의 정(定)이요,

더 이상 어리석음만 없으면 자성의 혜(慧)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수행을 해나간다거나 깨달음을

얻는다거나 하는 것도 우스갯소리에 불과할 따름이다.

그러므로 더 이상 그 무엇도 추구할 필요 없이

다만 5분 앉아있으면 5분 부처라고 하는 것이다.

 

아울러 좌선을 하는 때에는, ‘몸으로써 깨닫는다’는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다.

부처님께서도, 차라리 사대(四大)로 된 물질 몸에 대해서는 ‘나’와 ‘내 것’에 매일지언정,

의식(意識)에 대해서 ‘나’와 ‘내 것’에 매이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처럼 우리는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운 것이며,

우리의 생각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바뀌고 흔들리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량분별이나 지견의 이해 및 알음알이로써 깨닫고자 해서는

백 천 만겁이 흘러 미륵보살이 하생(下生)한다 해도 깨치기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럴 바에야 이러한 알음알이는 모두 부처님께 맡겨버리고,

몸으로써 깨닫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좌선에 임하는 것이 오히려 보탬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아울러 좌선을 하는 가운데 특이한 현상이나 자취를 구하지 말 것이며,

혹 신통스럽거나 두려운 경지가 나타난다 할지라도 이 모두 다 요망한 일로 여겨

마음에 두지 말고 심상히 지나가 버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