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지필(董狐之筆) 동호지필(董狐之筆) 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의). 筆:붓 필.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에 남기는 일. 춘추 시대, 진(晉)나라에 있었던 일이.. 고사 성어 2014.01.22
사석위호(射石爲虎) 사석위호(射石爲虎) 射:쏠 사. 石:돌 석. 爲:할 위. 虎:범 호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돌에 화살이 꽂혔다는 말로, 성심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뜻. 이광은 양가의 자제로서 집안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궁술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다. 그는 신체가 장대하고 원숭이처럼 .. 고사 성어 2014.01.21
수서양단(首鼠兩端) 수서양단(首鼠兩端) 首:머리 수. 鼠:쥐 서. 兩:두 량. 端:끝(실마리) 단.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좌우를 살피는 쥐라는 뜻.곧 ① 진퇴 거취를 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 ② 두 마음을 가지고 기회를 엿봄. 전한7대 황제인 무제(武帝:B.C. 141∼87) 때의 일이다. 5대 문제(文帝)의 황후의 조카.. 고사 성어 2014.01.20
水落石出(수락석출) 水落石出(수락석출) 水:물 수, 落:떨어질 락, 石:돌 석, 出:날 출 물이 빠지니 돌이 드러남. 곧 흑막이 걷히고 진상이 드러남 北宋(북송)의 神宗(신종)은 약해해진 국가를 바로 잡을생각으로王安石(왕안석)을 등용해 과감한 개혁 정책을 폈다. 유명한 '王安石의 變法(변법)'이다. 이 때 歐陽.. 고사 성어 2014.01.19
목후이관(沐후而冠) 목후이관(沐후而冠) 목욕할 목. 원숭이 후. 어조사 이. 갓 관 목욕한 원숭이가 갓을 씀. 사람 행세를 못함. 표면은 근사하게 꾸몄지만 속은 난폭하고 사려가 모자람 홍문연(鴻門宴)을 통해 유방(劉邦)으로부터 진(秦)의 도읍 咸陽(일명 關中)을 손에 넣은 항우(項羽)는 살인, 약탈, 방화를 자.. 고사 성어 2014.01.18
미생지신(尾生之信) 미생지신(尾生之信) 尾:꼬리 미. 生:날 생. 之:어조사 지(…의). 信:믿을 신. 미생의 믿음이란 뜻. 곧 ① 약속을 굳게 지킴. ②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음의 비유. 춘추 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尾生高)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는 사나이였다.. 고사 성어 2014.01.17
釜中之魚(부중지어) 釜中之魚(부중지어) 釜:솥 부.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魚:물고기 어 솥안의 물고기. 곧 삶아지는 것도 모르고 솥 안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 눈앞에 닥칠 위험도 모른 채 쾌락에 빠져 있는 사람 後漢(후한)말께 20여년간 황제의 외척인 梁翼(양익) 형제는 권력을 멋대로 휘둘렀다. .. 고사 성어 2014.01.16
별무장물(別無長物) 별무장물(別無長物) 別:따로 별. 無:없을 무. 長:남을 장. 物:물건 물 필요 이외의 것을 일절 갖지 않는다 동진(東晉) 시대에 왕공(王恭)이라는 유명한 인격자가 있었다. 절조가 높은데다 청렴 공겸하므로 세간의 칭송을 한몸에 모으고 있었다. 세상 사람들이 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왕.. 고사 성어 2014.01.15
문전작라(門前雀羅) 문전작라(門前雀羅) 門:문 문. 前:앞 전. 雀:참새 작. 羅:벌일 라. [원말]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 [반의어] 문전성시(門前成市). 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문 앞(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말. 전한 7대.. 고사 성어 2014.01.14
동호지필(董狐之筆) 동호지필(董狐之筆) 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의). 筆:붓 필.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에 남기는 일. 춘추 시대, 진(晉)나라에 있었던 일이.. 고사 성어 201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