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탐득무염ㅣ貪得無饜

갓바위 2022. 5. 23. 09:00

 

○ 물리는 일없이 욕심을 부리다
○ 貪(탐낼 탐) 得(얻을 득) 無(없을 무) 饜(포식할 염)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이루려 노력하는 욕심은 착한 욕심이지만

대부분 분수에 넘치게 무엇을 탐내거나 누리고자 하는 일이 많아 패가망신한다.

 

‘만족함을 알아 늘 만족해한다면 평생토록 욕되지 아니한다

(知足常足 終身不辱/ 지족상족 종신불욕)’는 ‘明心寶鑑(명심보감)’의 구절을 명심할 일이다.  
 
‘春秋(춘추)’에 대해 역사적, 실증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 左丘明(좌구명)의 ‘左氏傳(좌씨전)’에서 유래했다.

여기선 사람의 욕심 중에 미인을 배필로 고를 때 주의할 점을 가르친다.

 

晉(진)나라 대부인 叔向(숙향)이 楚(초)나라에서

망명한 巫臣(무신)이란 사람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고 싶었다.

 

외모가 뛰어났기 때문이다. 그의 어머니는

친정 동네의 처녀 중에 고르라 했지만 싫다고 하자 옛 이야기를 들려주며 설득한다. 
 
‘옛날 有仍(유잉, 仍은 잉할 잉)이란 제후가 예쁜 딸을 얻었는데

머리가 새까맣고 빛은 거울과 같아 玄妻(현처)로 불렸다.

 

자라서 舜(순) 임금의 악사장에게 시집가 아들을 낳았지만 성질이 고약했다.

마음 씀씀이가 마치 돼지와 같이 탐욕스럽기 한이 없고 불평하고 무례한 짓이

끝이 없어서 현처가 아니라 큰 돼지(封豕/ 봉시)라 불리게 됐다

 

(貪惏無饜 忿纇無期 謂之封豕/ 탐림무염 분뢰무기 위지봉시). 뛰어난 미모를 가진 여자는

사람의 마음을 미혹시킬 수 있으므로 참으로 덕스럽지 않으면 필시 화가 된단다.’

惏은 떨릴 림, 忿은 성낼 분, 纇는 실마디 뢰. 昭公(소공) 28년 조에 실려 있다.  
 
숙향은 어머니의 이런 간곡한 말을 듣고서 포기했지만

임금이 억지로 맺어줘 무신의 딸과 결혼, 아들 伯石(백석)을 낳았다.

 

모친이 손자를 보려고 내당으로 가다가 승냥이 소리로 우는 것을 보고

필시 집안을 망칠 아이라며 발을 끊었다.

과연 백석은 자란 뒤 내란에 가담한 죄로 목숨도 끊기고 멸문을 당했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면피ㅣ鐵面皮  (0) 2022.05.24
계포일낙ㅣ季布一諾  (0) 2022.05.24
이사난열ㅣ易事難說  (0) 2022.05.22
지란지교ㅣ芝蘭之交  (0) 2022.05.22
학철부어ㅣ涸轍鮒魚  (0)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