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갓바위 2018. 8. 18. 09:44
 축록자불견산
(逐鹿者不見山)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 
[쫓을 축(辶/7) 사슴 록(鹿/0) 
놈 자(耂/5) 아닐 불(一/3) 
볼 견(見/0) 메 산(山/0)] 
사냥을 하면서 사슴을 쫓는 
사람에게는 명산의 경치를 
볼 여유가 없다. 이런 간단한 
성어에 여러 가지 비유가 숨어 있다. 
눈앞의 명예와 욕심에 눈이 
멀어 사람된 도리를 저버린다, 
이익에 눈이 팔려 자신에게 
다가올 위험도 보지 못한다, 
한 가지 일에 몰두해서 다른 
일은 염두에 두지 않는다 
등등의 경우에 쓸 수 있다. 
돈을 움켜쥐기만 하면 다른 
사람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攫金者不見人(확금자불견인)과 
함께 대구로 많이 사용되는 말이다. 
南宋(남송)의 선승 虛堂(허당) 智愚
(지우, 1185~1269)의 법어를 기록한 
책 ‘虛堂錄(허당록)’에서 비롯됐다. 
같은 취지의 비슷한 쓰임
으로는 ‘淮南子(회남자)’에서다.
 前漢(전한)의 7대 武帝(무제)때 
淮南王(회남왕)이자 문학애호가였던 
劉安(유안)이 빈객과 方術家
(방술가) 수천 명의 도움을 
받아서 편찬한 책이다. 說林訓
(설림훈)편에 이런 구절이 있다. ‘
짐승을 쫓는 사람은 큰 산을 
보지 못한다. 밖으로 즐기고 
욕심내는 것이 드러나면 
밝은 것이 가려지기 때문이다
(逐獸者目不見太山 
嗜欲在外 則明所蔽矣/ 
축수자목불견태산 
기욕재외 즉명소폐의).’ 
좀 더 가까운 뜻의 큰 사슴
이란 말도 이어서 나온다. ‘
사슴을 쫓는 사람은 
작은 토끼를 돌보지 않고, 
천금의 재물을 얻으려는 
사람은 푼돈을 다투지 않는다
(逐鹿者不顧兎 決千金之貨者 
不爭銖兩之價/ 
축록자불고토 결천금지화자
 부쟁수량지가)’. 
역시 큰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는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한다. 
본뜻과는 약간 뜻을 달리 하지만 
사슴을 뒤쫓는다는 逐鹿(축록)만을
 떼어서 사용하면 제위나 정권 따위
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을 가리킨다. 
이 말에는 高祖(고조) 劉邦(유방)
을 도와 통일에 큰 공을 세운 
韓信(한신)의 책사 蒯通(괴통, 
蒯는 황모 괴)이 등장한다. 
한신이 모반의 혐의를 받고 
呂后(여후)의 꾐에 빠져 죽을 때 
괴통의 책략을 쓰지 
않은 것이 한이라고 했다. 
유방이 괴통을 잡아들여 추달하자
 秦(진)나라가 잃은 사슴을 모든 
사람이 쫓았을 때 자신은 한신을 
위했을 뿐 고조는 몰랐다고 했다. 
통일제국 진나라가 잃은 
것이 사슴이란 정권이었다. 
정권을 잡기 위한 중원의 사슴
몰이가 한바탕 큰 바람을 일으켰다. 
굳이 정권만이 아니라 앞날의 
목표를 가지고 일을 추진하는 
사람은 눈앞의 욕심만 
쫓지 않고 큰 그림의 
미래를 보아야 한다는 
교훈을 새겨야겠다. 
제공 : 안병화
(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오늘의 고사성어 -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0) 2018.08.21
휘한여우(揮汗如雨)  (0) 2018.08.21
가슬석자 (歌瑟析子)  (0) 2018.08.18
견선여갈(見善如渴)  (0) 2018.08.17
견토구폐(犬兎俱斃)  (0) 2018.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