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공자천주ㅣ孔子穿珠

갓바위 2022. 10. 19. 08:47

 

공자천주ㅣ孔子穿珠 

 

○ 공자가 구슬을 꿴다

○ 孔(구멍 공) 子(아들 자) 穿(뚫을 천) 珠(구슬 주)

 

공자(孔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點)이 있다는 말.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가르쳐 주는 말이다.

 

중국이 세계에 내세우는 유교의 시조,

학문의 전능인 孔子(공자)는 못하는 일이 없을까.

 

무례한 질문이지만 모든 방면에서 잘 하지는 못했을 테니

모르는 것을 물어보는 것에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不恥下問(불치하문)의 가르침을 남겼을 것이다.

 

이 가르침의 실제적인 예가 되는 것이 바로 이 성어다.

구슬을 뚫었다(穿珠)는 말은 구슬에 나 있는 여러 구멍을 잘 찾아

실을 꿴다는 뜻. ‘뚫을 천‘인 穿은 어려운 글자이지만 穿孔(천공),

穿鑿(천착) 등으로 제법 많이 쓰인다.

 

孔子는 모르는 것이 있으면 배우는 일이 중요하지

다른 조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나이나 신분, 귀천과 부귀는 더군다나 문제가 아니었다.

 

孔子가 이전에 아는 사람에게 진귀한 구슬을 얻은 적이

있는데 여기에는 아홉 구비나 되는 구멍이 꼬불꼬불 나 있었다.

 

이 구슬에 실을 꿰어야 갖고 다니기 편할 텐데

아무리 좋은 머리로 생각을 짜내어도 꿰지 못했다.

陳(진) 나라를 지나갈 때 일어난 일이다.

 

뽕밭에서 한 여인이 뽕잎을 따고 있었는데 이 여인은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민망함을 무릅쓰고 구슬 꿰는 방법을 물었다.

 

구슬을 살펴보던 아낙이 찬찬히 꿀을 가지고

생각해 보라고 하자 그제서야 孔子가 깨달았다.

 

구슬의 구멍 한쪽에 꿀을 바르고 개미를 잡아

허리에 실을 묶고선 반대쪽 구멍으로 넣었다.

꿀 냄새를 맡은 개미가 그곳으로 기어 들어가더니 저쪽 구멍으로 나왔다.

 

실이 꿰진 것은 물론이다. 이 이야기는 宋(송) 나라

睦庵善卿(목암선경)이 엮은 ‘祖庭事苑(조정사원)’에 나온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산지감ㅣ北山之感  (0) 2022.10.19
흑우생백독ㅣ黑牛生白犢  (1) 2022.10.19
적자지심ㅣ赤子之心  (0) 2022.10.19
사어안락ㅣ死於安樂  (0) 2022.10.19
각화무염ㅣ刻畵無鹽  (0)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