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염화미소ㅣ拈華微笑

갓바위 2022. 8. 18. 08:33

○ 꽃을 집어 들고 웃음 짓다,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다.
○ 拈(집을 염) 華(빛날 화) 微(작을 미) 笑(웃음 소) 
 
꽃을 집어 들고 웃음을 띠다란 뜻으로,말로 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傳)하는

일을 이르는 말. 불교(佛敎)에서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으로 쓰이는 말


어떤 일을 가르치거나 전달하려할 때 받아들이는 사람이 먼저 알아챈다면 그 이상 수월할 수가 없다.

이해가 빨라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이해하는 제자가 기특하다.

부처님이 불교의 진수를 전하기 위해 제자들에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법했다.

 

三處傳心(삼처전심)이다. 그 세 가지 중에서 靈山會上擧拈花(영산회상거염화)가

말을 통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을 뜻하는 拈華微笑의 유래가 됐다.

‘大梵天王問佛決疑經(대범천왕문불결의경)’에 전한다고 한다. 
 
釋迦牟尼(석가모니)가 인도 고대의 마가다국에 있던 靈鷲山

(영축산, 鷲는 독수리 취로 읽지만 불교선 축으로 읽음. 양산 영축산도 영취산,

취서산으로 읽히다 2001년 영축산으로 통일)에서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법을 하고 있을 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부처님이 그중 연꽃송이 하나를 들어 보이자 모두들 영문을 몰라

어리둥절하고 있을 때 마하가섭(摩訶迦葉, 訶는 꾸짖을 가 또는 하, 葉은 잎 엽이지만

고을이름 섭도 됨)만이 뜻을 알아채고 조용히 미소를 지었다.

 

이에 부처님은 자신의 가르침이 문자나 교리로가 아닌

마음에서 마음으로 제자에게 전해졌음을 깨닫게 되었다.

敎外別傳(교외별전)이고 以心傳心(이심전심)이란 말도 여기서 나왔다.  
 
석가는 ‘내가 체득한 불가사의한 진리 正法眼藏(정법안장)과 현묘한 깨달음으로 말이나

문자로써 표현할 수 없는 경지의 불법 涅槃妙心(열반묘심)을 가섭에게 전한다’고 선포하였다.

 

이뿐만 아니다. 다자탑 앞에서 설법할 때 가섭에게 자리를 반 비워 준 일, 쌍림에서

열반에 드실 때 가섭이 오자 관에서 발을 밖으로 내민 일 등도 뜻을 이어받게 한 일이라 한다.

이로써 가섭은 10대제자 중에서도 上首第子(상수제자)로 치며 부처님 이후의 법통을 말할 때 개조가 되었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경고현ㅣ明鏡高懸  (0) 2022.08.19
묵적지수ㅣ墨翟之守  (0) 2022.08.18
혈기방강ㅣ血氣方剛  (0) 2022.08.17
단료투천ㅣ簞醪投川  (0) 2022.08.16
군욕신사ㅣ君辱臣死  (0)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