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밭 ~ 행복한가

나 혼자 시대, <함께>라는 행복에 관하여

갓바위 2024. 2. 8. 11:29

 

 

나 혼자 시대, <함께>라는 행복에 관하여

 

미국의 커너먼 교수가 미국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누가 가장 피곤하게 하느냐’라는 질문에 조사 결과는 아주 흥미로웠죠.

1위는 남편, 2위는 자녀들이었습니다.

가장 사랑하고 아끼는 가족이지만, 동시에 정신적으로 귀찮고 힘든 것입니다.

 

나는 행복한가는 끊임없이 자신에게 던져보아야 할 질문임에 틀림없습니다.

행복은 큰 행운이 아니라 연속되는 작은 기쁨에서 오고,

좋은 기분을 가질 수 있는 일에 투자하는 데에서 온다고 합니다.

 

즐겁지 않은 일을 수동적으로 하기보다 내가 좋아하는 일의

비중을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이 행복임을 느끼게 하는 대목인 것이죠.

 

우리는 어려운 일에 도전했을 때 쉽게 해결되거나, 생각 이상의 성과를

거두게 되면 보람과 행복을 느낍니다. 반면 결과가 좋지 않으면 자신이 불

행하다고 생각하죠.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 여기기 때문입니다.

물론 결과를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과정 또한 소중히 생각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0평대 아파트 입주가 목표라면 돈을 아껴 쓰고, 저축해야 합니다.

 

아이를 명문대에 보내는 것이 목표라면 가족의 보이지 않는 배려와 희생이

필요하죠. 이러한 목표들을 이루는 과정을 고통스럽다고만 생각한다면 인생의

반 이상을 불행하게 보내게 될 것입니다. 모든 결과는 과정이 있어야 얻을수

있고 과정이 어렵고 힘들수록 결과는 크고 달콤합니다.

’여정이 곧 보상이다‘라고 하죠.

 

넘치는 풍요 속에서 내가 가진 것에 대한 고마움보다는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불평과 불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남과 비교 하며 현실 탓, 남의 탓 등 늘 부정적인 사고로 살아가는 것은

불행해 지는 지름길입니다. 이제 행복해지고 싶지 않은가요?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예프스키는 ‘불행한 사람은

자기가 행복 한 줄 모르는 사람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물고기는 물속에 살면서도 물에 대한 고마움을 모르며,

우리는 가족과 함께 살면서도 가족의 소중함을 모를 때가 많죠.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소중히 여기면서 서로에게 감사하며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사람들은 소중한 것의 가치를 잊은 채 살아갑니다.

아침마다 밤새 일어난 수많은 사건사고를 다룬 뉴스가 방송됩니다.

 

하지만 우리 가족에게는 밤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고,

다치지도 않았으며, 심지어 내 옆에서 코를 골며 평화롭게 자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으로 보면 세상은 경이로움의 연속이죠.

 

자신이 불행의 아이콘이라고 생각된다면 오늘만은 그런 생각을 지워보세요.

데일 카네기가 쓴 <행복론>을 보면서.

 

1. 오늘만은 행복할 것

행복은 내부에서 오는 것이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오늘만은

사업, 행운 등)을 그대로 받아들일 것 내 기준에 맞추려 들지 말자.

 

2. 오늘만은 몸을 돌볼 것

잠시라도 시간을 내어 휴식을 취하거나 운동을 하자.

 

3. 오늘만은 유쾌하게 지낼 것 부정적인 생각을 버리고 단순하게 생각하자.

오늘만은 오늘 하루를 살 것 인생의 모든 문제를 단번에 결판낼 수는 없다.

내가 행복해야 가족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100세 시대

배우자와는 짧아도 60년, 아이들과는 짧아도 20년을 동행해야 합니다.

 

행복한 동행을 위해 작은 즐거움과 기쁨에도 감사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자기 역할에 충실하고, 따뜻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실을 인정하고 미래를 꿈꾸세요. 당신에게는 행복해질 권리가 있습니다. 사랑

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이 모두 행복해지기 위한 나의 선택이었을 테니까요.

 

출처처 행복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