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 ~ 어둠속 등불 1390

도리사 창건설화

도리사 창건설화 ​ 아직 겨울이라기엔 이른 늦가을이었다. 옷은 비록 남루했지만 용모가 예사롭지 않은 한 고구려인이 신라 땅 일선군(지금의 경상북도 선산)에 있는 부자 모례장자 집을 찾아왔다. "어떻게 제 집엘 오시게 되었는지요?" 모례장자는 행색과는 달리 용모가 순수한 낯선 객에게 점잖고 융 숭하게 대하면서도 일말의 경계를 금할 수 없었다. "나는 묵호자라는 고구려 승려입니다." 인연이 있는 땅이라 찾아왔으니 나를 이곳에 묵을 수 있도록 주선하여 주십시오." 당시는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지 않은 때인지라(눌지왕 때) 모례장자는 묵호자의 불법에 관한 설명이 쉽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전생부터의 인연이었는지 아무래도 낯선 객이 신비스럽고 큰 불도를 알고 있는 대인인 듯하여 지하에 밀실을 지어 편..

기림사의 유래

기림사의 유래 ​ 사위성의 장자 수달다(須達多)는 바시익왕의 재무 관리로서 고독한 사람을 불쌍이 여기고 보시를 좋아하여 사람들이 급고독(給孤獨) 장자라고들 불렀다.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감동한 장자는 부처님과 승가를 모시기 위해 사위성 근처에 정사를 건립하고 싶었다. 그런데 기타(祇陀)태자가 소유하고 있는 원림 만큼 마땅한 곳이 없었다. 그 땅은 넓고 평평한데 수목이 무성하고 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도 가까이 있지도 않았다. 그래서 꼭 그 땅에 정사를 세우고 싶어 태자에게 찾아가 열심히 땅을 팔아 줄 것을 요청했으나 태자는 번번히 거절하였다. ​ 장자의 물러서지 않는 돈독한 뜻을 본 태자는 장난 삼아 만약 황금으로 그 땅을 깔아 덮는다면 팔겠노라고 말하였다. 이에 장자는 크게 기뻐하여 정말로 황금을 ..

해은사 영험있는 봉돌

해은사 전경 ​ ​ 해은사 영험있는 봉돌 ​ 해은사의 성황당에는 부부신 즉 수로왕과 허비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그 영정 앞에는 수로왕의 비 허후가 왔다는 망산도에서 가져 온 봉돌이라 불리는 영험이 있다는 돌이 놓여 있다. 직경 15센티미터 정도의 봉돌은 어디서든지 볼 수 있는 자연석이라고 할 수 있다. 손때가 묻어 엷은 광채가 빛나고 있다는 것이다. ​ 봉돌과 함께 고곳에는 아름드리 돌절구도 있었다고 하는데 절을 고쳐 수리할 때에 찬물샘과 같이 묻어버렸고 봉돌만 남아 있게 되었다. 절에 치성을 드리는 사람들이 전해 주는 이야기로는 자못 영험있는 이야기이다. ​ 여신도들이 본전에서 불공과 치성을 드리면서 방석에 종이를 깔고 그 위에 약간의 쌀을 놓아 우고 봉돌로 갈아 본다는 것이다. 이때 쌀알이 봉돌에 ..

해일을 없앤 원력

해은사 대왕전 ​ 해일을 없앤 원력 ​ 부처님의 뜻에 근거한 원력은 한없이 큰 것이다. 하늘의 혜택을 골고루 갖춘 가락국 영토의 중심부인 김해에는 금벌의 옥토를 자랑하며, 한편으로는 옛날부터 백제와 신라가 탐을 내어 끊임없이 병합하려 하였던 것이다. 사람들은 부지런하였으며 사계절에 따른 자연의 산물은 넉넉하여 쉴새 없이 사람들은 살기 좋은 가락 지역으로 모여 들었던 것이다. 반도 남단이면서 태평양의 거센 파도의 직접적인 피해를 면할 수 있었으며 서북풍이 몰아치는 겨울절기에는 모진 찬 기운과 눈보라의 동해로부터 보호된 지역들이었다. 그러나, 연중 두 세 번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이 땅의 기후조건으로 하여 폭풍이 몰아치거나, 폭우가 쏟아지는 시기에는 어김없이 김해 지역은 낙동강의 내륙으로 흘러..

통도사의 창건설화

통도사의 창건설화 ​ 신라 때 자장율사는 당나라에 건너가 수도를 하고 부처의 숭고한 가르침을 세상에 널리 전파하고자 부처의 가사와 사리를 받들고 신라로 돌아왔다. 그리하여 사리를 모실 절을 세우기로 하고 문수보살께 절을 세우기에 적당한 곳을 물었다. 그랬더니 어느 날 밤 꿈에 훌륭하게 차려입은 동자가 나타나서 부처님 모실 곳을 일러주었다. ​ "동국에 부처를 모시도록 하라.” ​자장율사는 동국이 신라를 가리키는 것은 분명하나 넓은 신라의 어느 곳이 좋을지 몰랐다. 그래서 나무로 오리를 만들어 동쪽으로 날려 보냈더니 얼마 후 오리는 한 송이 칡꽃을 물고 돌아왔다. 자장율사는 칡꽃이 피어있는 곳에 절을 세우라는 것이 부처님의 뜻임을 깨닫고 흰눈이 쌓여 있는 한 겨울에 칡꽃을 찾아 나섰다. 며칠을 찾아다니던 ..

통도사의 사리탑

통도사의 사리탑 ​ 신라 때 자장율사는 양산 통도사에다 부처님사리를 받들어 모시고 뚜껑을 돌로 만들어 덮었다. 그런 뒤 어느 날 조정에서 사자를 보내어 이 절에 참례하게 한 일이 있었다. 그때 사자는 유명한 사리를 친히 보고자 스님들에게 명하여 돌뚜껑을 열게 하였다. 그리고 그 속을 들여다보니 그곳에는 커다란 두꺼비가 앉아 눈알을 번득이고 있는 것이었다. 한편 그 뚜껑에는 ‘훗날 아무개 성을 가진 사람이 이것을 열 것’이라고 쓰여 있었는데 그 사자의 성과 일치했다고 한다. 이 사리탑의 동쪽 돌에는 얼룩얼룩한 빛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고려 광종 4년 경주 황룡사 구층탑이 세 번째 화재를 당하였을 때라고 한다.

통도사 스님을 사모한 처녀

통도사 백운암 ​ 통도사 스님을 사모한 처녀 ​ 언제인지 분명치 않지만 통도사에서 가장 높은 산내암자 백운암에 홍안의 젊은 스님이 홀로 경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장차 훌륭한 강백이 되기를 서원한 이 스님은 아침저녁 예불을 통해 자신의 염원을 부처님께 기원하면서 경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아직 산기슭 군데군데에 잔설이 남아 있던 어느 봄날, 스님은 여느 날과 다름없이 저녁 예불을 마치고 책상 앞에 단정히 앉아 경을 읽고 있었다. 문든 인기척이 나는가 싶더니 아리따운 아가씨의 음성이 밖에서 들려왔다. “스님, 계십니까?” “뉘신지요?” 문을 연 스님은 이번엔 귀가 아니라 눈을 의심했다. 목소리만큼 아름다운 처녀가 바구니를 든 채 서 있는 것이 아닌가. “늦은 시각, 이렇게 깊은 산중에 웬일이십니까?” ..

통도사 자장율사와 금개구리

통도사 자장율사와 금개구리 ​ 통도사의 산내암자인 자장암에는 법당 뒤 절벽 바위에 1천400년 전부터 금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전한다. 요즘도 자장암에서 정성들여 기도를 잘하면 볼 수 있다는 이 금개구리는 자장율사가 통도사를 세우기 전, 석벽 아래 움집을 짓고 수도하고 있을 때 나타났다고 한다. 어느 날 저녁 자장율사는 공양미를 씻으러 암벽 아래 석간수가 흘러나오는 옹달샘으로 나갔다. 바가지로 막 샘물을 뜨려던 스님은 잠시 손을 멈췄다. “웬 이럴 수가. 아니 그래 어디 가서 못 놀아서 하필이면 부처님 계신 절집 샘물을 흐려놓는고.” 스님은 샘에서 흙탕물을 일으키며 놀고 있는 개구리 한 쌍을 두 손으로 건져 근처 숲속으로 옮겨 놓았다. 다음날 아침. 샘가로 나간 자장스님은 개구리 두 마리가 다시 와서 놀고..

통도사 구룡지 용혈암

통도사 구룡지 용혈암 ​ 통도사 대웅전 뒤에 있는 연못이 바로 구룡지이며, 용혈암은 통도사 입구 무풍교 근처에 있다. 옛날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본국으로 돌아와 통도사를 지으려고 하던 즈음이었다. 그 당시는 통도사 터는 큰 연못이었는데, 이 못에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다. 스님은 마음을 가다듬고 주문과 경을 읽으며 아홉 마리의 용에게 조용히 이 못을 떠나달라고 청하였으나 용들이 일절 응하지 않자, 법력으로 아홉 마리의 용과 결투를 벌이게 되었다. 이 싸움에서 견디지 못한 용들은 제각기 앞 다투어 달아나기 시작했는데, 마리의 용은 달아나다가 커다란 바위에 부딪혀 떨어져 죽었다. 당시 부딪힌 바위에 용의 피가 낭자하게 묻게 되어서 후세사람들이 이 바위를 용혈암(龍血巖)이라고 부르게..

청곡사 창건설화

청곡사 창건설화 ​ 『이 사찰의 창건에 관련된 다음의 전설이 전해온다. 도선국사가 어느날 진주 남강변에 앉아있는데 문득 청학 한 마리가 강위로 날아들더니 곧장 월아산 기슭으로 날아가 앉았더란다. 청학이 날아가 않은 곳에 상서로운 기운이 충만한 것을 보고 당나라에서 전수받은 비보설에 따라 이곳에 절을 세웠다는 이야기이다 이 전설을 뒷받침하듯 청곡사 입구에 학을 불러들인다는 환학루(喚鶴樓)가 세워서져 있고 환학루 창건기, 나한전 중수기, 퇴계의 시가 목판에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