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창름실즉지예절ㅣ倉廩實則知禮節

갓바위 2022. 6. 17. 09:10

 

○ 곡식창고가 가득하면 예절을 안다.
○ 倉(곳집 창) 廩(곳집 름) 實(열매 실) 則(곧 즉) 知(알지) 禮(예도 예) 節(마디 절) 
 
재산(財産)이 풍족(豐足)하고서야 비로소 예절(禮節)을 알아 차린다는 뜻.

孔子(공자)는 無信不立(무신불립)이라 하여 병사나 식료보다 신뢰가 앞서야 한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국민들의 믿음이 없으면 나라가 성립할 수 없다는 뜻에서였다.

 

음식이 첫손에 꼽혀야 한다는 말 중에 以食爲天(이식위천)은 먹는 것을 하늘로 여긴다는

유명한 성어다. 食爲民天(식위민천)이라 해도 같은 뜻으로 중국 漢高祖(한고조) 劉邦(유방)을

도왔던 酈食其(역이기, 酈은 땅이름 역, 食은 밥 식, 먹을 사, 사람이름 이)가 한 말이다. 
 
창고에 곡식이 가득 찬(倉廩實則) 연후에 예절을 알게 된다(知禮節)는 말도 먹는 음식의 중요성을 말한다.

사람 사이에 예절을 차릴 수 있는 것도 먹는 것이 해결된 후의 일이란 뜻이다.

곳집 廩(름)은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 의젓하고 당당한 凜凜(늠름)할 때는 찰 凜(름)을 쓴다.

 

이 말을 남긴 사람은 春秋時代(춘추시대) 齊(제)나라의 桓公(환공)을

도와 최초의 覇者(패자)로 오르게 한 명재상 管仲(관중)이다.

군사력의 강화, 상업과 수공업의 육성을 통하여 부국강병을 꾀한 그는

평생의 친구 鮑叔牙(포숙아)와의 우정 管鮑之交(관포지교)라는 말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관중이 남긴 말을 후세사람들이 모았다고 하는 ‘管子(관자)’의 牧民(목민)편에 이 구절이 나온다.

농업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니 백성들은 곡물을 심고 거두는 일에 힘쓰고,

다스리는 사람은 계절에 따라 생산에 힘쓰고 곡식 창고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강조한다. ‘나라에 재물이 많으면 먼 데서도 찾아오고, 토지가 개간되면 백성들이 머무른다

(國多財則遠者來 地辟擧則民留處/ 국다재즉원자래 지벽거즉민유처). 창고가 그득하면

예절을 알고, 옷과 양식이 풍족하면 영욕을 알게 된다

(倉廩實則知禮節 衣食足則知榮辱/ 창름실즉지예절 의식족즉지영욕).’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상모순ㅣ自相矛盾  (0) 2022.06.19
춘수모운ㅣ春樹暮雲  (0) 2022.06.18
사생취의ㅣ捨生取義  (0) 2022.06.17
지음ㅣ知音  (0) 2022.06.16
식양재피ㅣ息壤在彼  (0)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