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이관규천ㅣ以管窺天

갓바위 2022. 10. 15. 09:50

 

[이관규천ㅣ以管窺天]


○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니 뭘 알겠나
○ 以(써 이) 管(대롱 관) 窺(엿볼 규) 天(하늘 천)


여름벌레가 얼음에 대해 왈가왈부하면 얼마나 우스울까?
이걸 하충어빙(夏蟲語氷)이라고 하지만, 견문이 좁은 것을 이르는 말은 수없이 많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게 ‘우물 안 개구리’인데, 개구리와 하늘을 결합한 단어로는
정저와(井底蛙) 정중지와(井中之蛙) 정중관천(井中觀天)
정중시성(井中視星) 좌정관천(坐井觀天) 등을 꼽을 수 있다.

대롱, 즉 관(管)을 이용해 만든 말을 살펴본다.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이야기다.
춘추시대 말기, 나중에 의성(醫聖)으로 불린 편작(扁鵲)이 괵(虢)이라는 나라에 갔을 때다.


태자가 병으로 숨졌다는 소식을 듣고 편작은
시의를 찾아가 무슨 병인지, 지금 어떤지 물었다.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그는 “내가 살려 보겠다”고 했다.
시의는 “어린애도 그런 말은 곧이듣지 않을 것”이라고 무시했다.


편작은 이렇게 말했다.
“그대의 의술은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고[以管窺天]
좁은 틈새로 무늬를 보는 것[狹隔目紋]과 같소.

” 편작은 이어 “내 말을 믿지 못하겠거든 다시 한번 태자를 살펴보시오.
그의 귀가 울고 코가 벌름거리는 소리가 들릴 거요.
양쪽 사타구니를 쓰다듬다가 음부에 손이 닿으면 그곳은 아직 따뜻할 것이오.”


편작이 침을 놓자 태자는 소생했고, 치료를 더 하자 20일 후에는 일어났다.
사람들이 “편작은 죽은 사람도 살린다”고 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죽은 사람을 소생시킨 게 아니라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을 고친 것뿐이오.”


대롱을 통해 하늘을 엿본다는 이관규천과 비슷한 말도 많다.
관규정격(管窺莛擊)은 한(漢) 동방삭(東方朔)의 “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엿보고,

고둥 껍데기로 바닷물을 재며, 풀줄기로 종을 치는 격[以管窺天 以蠡測海 以莛撞鍾]”
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국량과 견식이 협소하고 천박하다는 뜻이다.
출전은 한서(漢書) 동방삭전.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어안락ㅣ死於安樂  (0) 2022.10.19
각화무염ㅣ刻畵無鹽  (0) 2022.10.19
적우침주ㅣ積羽沈舟  (0) 2022.10.15
유예불결ㅣ猶豫不決  (1) 2022.10.15
아심여칭ㅣ我心如秤  (1)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