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2 3

예승즉이ㅣ禮勝則離

○ 예의가 지나치면 도리어 사이가 멀어짐 ○ 禮(예도 예) 勝(이길 승) 則(법칙 칙) 離(떠날 이) 예기 악기(樂記)편에 유래하는 말이다. 《예기》는 중국 유교 경서 중 하나로 선진(先秦)시기 유가의 예법을 망라하여 20권 49편에 정리한 책이다. 그 중 제19편 〈악기〉편은 유가의 악(樂)에 관한 기록으로 음악 이론이 체계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악이 지나치면 방탕한 데로 흐르고 예가 지나치면 정(情)이 이반된다.[樂勝則流, 禮勝則離.]” 음악을 연주하거나 즐기는 것을 적당한 수준을 넘어서 절제하지 못하면 좋지 못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기 위해 지키는 예의를 쓸데없이 많이 차리면 오히려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야말로 과유불급의 의미이며, 음악도 예법..

고사 성어 2022.07.02

침어낙안ㅣ沈魚落雁

○ 물고기가 숨고 기러기가 땅에 떨어지다, 미인 ○ 沈(잠길 침) 魚(물고기 어) 落(떨어질 낙) 雁(기러기 안) 미인(美人)을 보고 부끄러워서 물고기는 물 속으로 들어가고 기러기는 땅으로 떨어진다는 뜻으로,미인(美人)을 형용(形容)하여 이르는 말이다. 침어는 중국의 4대 미인 중에서 첫손으로 꼽는 春秋時代(춘추시대) 越(월)나라의 西施(서시)를 가리키는 말이고, 漢(한)나라에서 흉노로 시집가는 王昭君(왕소군)을 낙안이라 칭한다. 이 말 외에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에 숨는다는 閉月(폐월)은 後漢(후한) 때 呂布(여포)와 董卓(동탁)을 이간시킨 貂蟬(초선, 貂는 담비 초)을, 꽃을 부끄럽게 하는 羞花(수화)는 唐(당)의 玄宗(현종)에게 총애 받은 楊貴妃(양귀비)를 가리켰다. 그런데 이렇게 갈래지어 4대 미..

고사 성어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