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6 7

범패

범패 ​ ​ ​불교음악 부분에서 불교음악사와 관련하여 큰 범주의 범패의 의미를 알아보았다면, 좁은 의미의 범패는 전문적 스님들에 의해 불려지는 안채비소리, 바깥채소리, 화청(和靑)이 세 가지를 의미한다. 범패의‘범’은 천상의 소리를 말하며,‘패’는 산스크리트어의Phasa의 음역으로 찬탄의 의미이다. 범패는 가곡, 판소리와 더불어 우리나라3대 성악곡 중에 하나이며, 어산(魚山)이라고도 한다. 범패는 장단(長短)과 화성(和聲)이 없는 단성시율(單聲施聿)이며,또한 일정한 악보가 없이 입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전승이 어려워 배우기 힘들다. 범패를 위의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 안채비는 본사의 큰 스님이나 재(齋)의 진행을 맡은 법주(法主)에 의해 불리는데, 권공(權共)이유가 담겨있는 4·6체 형식이나 산문형식..

卍 ~불교 상식 2022.11.06

불교음악

불교음악 ​ ​불교에서의 무용,음악 등은 의식인 재(齋)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의식을 어떤 방법과 절차를 가지고 행하느냐에 따라 무용 및 음악의 성격과 종류도 달라지며,그 의식을 장엄하고 보다 의식의 의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이해되기 때문이다. 불교음악은 옛 경전에서부터 부처님과 스님께 올리는 음악의 공덕을 인정하고 있어, 불보살을 장엄하고 찬탄하는 의식에서 공양음악으로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예불과 수행을 중심으로 한 독경(讀經), 염불(念佛)형식의 의식음악이 형성되었으며, 여기에 기악반주가 덧붙여져 점차 불교의식음악으로서의 틀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불교의식과 관련된 불교음악을 총칭하여 범패(梵唄)라고 한다.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영산회상(靈山..

卍 ~불교 상식 2022.11.06

자라를 방생하고 전염병이 낫다

자라를 방생하고 전염병이 낫다 ​ ​일을 보기위해 밖에 나가려는 정생원 부부가 일하는 아줌마에게 신신당부를 하였다. "이 큰 자라를 잘 씻어서 요리를 해놓으시오. 실수하면 안되네." 일하는 하녀는 주인이 나간 후에 돌연히 알 수 없는 측은한 마음이 생겼다. "아이고, 불쌍한 자라로구나."하고 그는 한숨을 쉬었다. 원래 정씨부부는 자라요리를 참 좋아하였는데 요리는 모두 그 여자에게 시켰다. 그 하녀가 몇 마리의 자라요리를 했는지 알 수도 없었다. 그런데, 이번엔 이상하게도 그 자라가 몹시 불쌍해 보였다. 그래서, 그 자라를 살려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안돼, 안되지. 주인이 돌아와 부리는 성화를 어떻게 당하려고." 그는 마음속으로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는 마지막엔 자라를 살려주고 주인의 야단을 감수하..

살려 준 벌이 보은을 하다

살려 준 벌이 보은을 하다 ​ ​한 주막집에 일보는 총각이 있었다. 어느날 술동이 속에 빠져있는 벌 한 마리를 발견하고 곧 젓가락으로 구해주었다. 한참 있다가 벌의 몸이 마르고 다시 날개가 빳빳해지고 힘이 생기자 윙윙 소리를 내며 날아갔다. 그 후에도 술동이에 빠진 벌들을 볼 때마다 위험에서 건져주었다. 몇 년 후의 일이었다. 어느 날 돌연히 관가에서 포졸들이 들이닥치더니, 다짜고짜 내용도 알아보지 않고 그 총각을 결박해서 바로 관가로 끌고 갔다. 알고보니 산적들이 그를 무고하였던 것이었다. 그러나, 자기를 변호해줄 사람도 없고 하여 자신의 결백을 변명할 방법이 없었다. 주판관(主判官)은 붓을 들어 그에게 사형판결을 내리려고 하였다. 그 때에 돌연히 웅웅 벌이 날아드는 소리가 먼 데서부터 점점 가까이 들..

17년 간 삼성을 다니며 배운 3가지 진리

일(Work)이 가르쳐준 삶의 지혜 난 2003년에 삼성전자에 입사해 올해로 17년째 근무 중이다. 공채 신입사원으로 시작해서 지금은 전자에서 분사되어 디스플레이의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17년간 수많은 임직원들과 함께 일을 했고, 협력사 임직원들과 함께 땀을 흘렸다. 제조업이다 보니 때로는 거칠고 체력이 요구되는 일을 했고, 때로는 사무실에서 분석 취합 정리하는 일을 했다. 말단 사원에서부터 중간관리자로 오기까지 17년이라는 시간 동안 나는 삼성이라는 곳에서 참 많은 문제를 만들고 해결했다. 강산이 두 번 변할 시간 동안 회사도 나도 많이 변했다. 그 변화의 파도 속에서 나는 변화를 잊은 채 떠밀려 가기도 했고, 변화를 정면으로 부딪혀 통과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나는 깨지고 부서지고 헤졌다. 이마..

군위신강ㅣ君爲臣綱

군위신강ㅣ君爲臣綱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 ○ 君(임금 군) 爲(할 위) 臣(신하 신) 綱(벼리 강) 유교의 도덕을 실천하는데 기본을 이루는 덕목으로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사회의 기본적인 관계를 수직적인 관계로 정한 것으로서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온 윤리 도덕이다.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며,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5가지로 대개 임금과..

고사 성어 2022.11.06

배반낭자ㅣ杯盤狼藉

배반낭자ㅣ杯盤狼藉] ○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 杯(잔 배) 盤(쟁반 반) 狼(어지러울 낭) 藉(어지러울 자) 술잔과 접시가 마치 이리에게 깔렸던 풀처럼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① 술을 마시고 한창 노는 모양. ② 술자리가 파할 무렵 또는 파한 뒤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양. 전국 시대 초엽, 제(齊)나라 위왕(威王) 때의 일이다. 초(楚)나라의 침략을 받은 위왕은 언변이 좋은 순우곤(淳于 )을 조(趙)나라에 보내어 원군을 청했다. 이윽고 순우곤이 10만의 원군을 이끌고 돌아오자 초나라 군사는 밤의 어둠을 타서 철수하고 말았다. 전화(戰禍)를 모면한 위왕은 크게 기뻐했다. 이어 주연을 베풀고 순우곤을 치하하며 환담했다." 그대는 얼마나 마시면 취하는고?" "신(臣)은 한 되[..

고사 성어 2022.11.06